본문 바로가기
예술학

예술의 이해

by 러브 레오 2023. 1. 11.

예술학은 예술에 관한 학문으로, 예술 철학과 구별하여 예술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예술 사회학은 예술의 사회학적 연구로서 19세기 중엽에 일어났던 실증주의(實證主義)와 함께 발달했다.

예술(藝術, art)은 학문·종교·도덕 등과 같은 문화의 한 부문으로, 예술 활동(창작, 감상)과 그 성과(예술 작품)의 총칭이다. 문학, 음악, 미술, 영화, 무용 등의 공연예술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술작품을 다루는 학문은 인문학의 영역이다.

예술은 사람들을 결합하고 사람들에게 감정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 된다. 과학도 같은 구실을 하기는 하나, 예술은 미적 형상(美的形象)으로 설명하고, 과학은 주로 개념으로 설명한다. 예술의 개념은 ‘아름다움’으로서, 미가 결핍되거나 상실되면 예술이라고 말할 수 없다. 아름다움만으로는 예술이라고 할 수 없으며 음악이나 미술, 무용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어떤 ‘형상’에 의해 표현되어야만 한다. 예술관을 크게 나누면 아이디얼리즘 또는 로맨티시즘과 리얼리즘이 된다. 아이디얼리즘을 대표하는  헤겔은 ‘미’는 예술가의 주관적 공상이라고 보는 데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로서 미를 자연의 모방, 혹은 재현이라고 본다. 

시각 예술은

예술의 한 형태로 미술이라고도 한다. 시각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예술작품 또는 시각적 요소(형식)로 표현하는 예술을 가리킨다. 시각 예술은 시각 이외의 감각에 호소하는 다른 형태의 예술과 구별된다. 그 유형에는 회화, 조각, 판화, 건축, 소묘, 만화, 사진, 영화, 비디오 아트, 컴퓨터 아트가 있다.

 

개념 미술은

작품에 포함된 개념 또는 관념이 전통적인 미학적, 기술적, 물질적인 것보다 선행하는 미술이다. 설치 미술로 불리는 일부 개념 미술 작품은 이미 작성된 안내를 따라 누구라도 간단히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의 예술가인 솔 르윗(Sol LeWitt)의 개념 미술에 대한 정의에서 근본적이었다. 미래의 개념 미술을 위한 뒤샹의 타당성이나 이론적인 중요성은 이후에 미국의 예술가 조셉 코수스(Joseph Kosuth)가 1969년에 쓴 수필인 〈철학 다음의 예술〉("Art after Philosophy")에서 인식되었으며, 조셉은 "미술은 오직 개념적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뒤샹 다음의) 모든 미술은 개념적이다."라고 썼다. 프랑스의 화가 마르셀 뒤샹은 예를 들어 레디메이드 아트와 같은 개념적인 작품의 예를 제시하여 개념 미술을 길을 닦았다. 뒤샹의 가장 유명한 레디메이드 아트 작품은 이다. 예술적 전통은 보통의 객체는 그것이 예술가에 의해 또는 예술이라는 의도로 창조되지 않았거나 그것이 유일하거나 수공이 아니기 때문에 미술로 보지 않는다. 

 

마르셀뒤샹

 

 

순수 미술

예술적 가치를 독점적으로 하는 활동과 작품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순수미술은 회화, 조각이며, 이에 대한 일러스트레이션과 디자인, 공예가 포함되고 있지만, 20세기 마지막 분기 이후 구분이 애매해지고 있다. 특히 응용 미술, 대중 미술과 구별하여 순수 미술을 의미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순수미술은 하이 컬처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설치 미술은

 1970년대 이후 회화 · 조각 · 영상 · 사진 등과 대등한 현대 미술의 표현 방법 장르의 하나이다. 비디오 영상을 상영하여 공간을 구성하기도 하며, 음향 등을 이용해 공간을 조성할 수도 있다. 공간 전체가 작품이기 때문에 감상자는 작품을 감상하기보다는 체험하게 된다. 특정한 실내나 야외 등에 오브제와 장치를 설치하고, 작가의 의도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고 변화시켜 장소와 공간 전체를 작품으로 체험하는 예술이다. 감상자가 그 공간을 체험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하는 방법을 어떻게 변화시킬지를 요점으로 하는 예술기법이다.

 

공공 미술은

대중들을 위한 미술을 뜻한다.  이 용어는 영국의 존 윌렛이 1967년 《도시 속의 미술 Art in a City》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 공원에 있는 조각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는 아트디렉터와 화상·큐레이터·평론가·수집가 등 소수 전문가들의 예술적 향유가 일반 대중의 미감을 대변하는 것처럼 만들어 소수의 행위를 정당화시킨다는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일반인들의 정서에 개입하는 미술개념으로서의 공공미술을 고안하였다.

새로운 공공미술은 장소를 물리적 장소로 보지 않고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소통의 공간으로 간주하며, 그런 의미에 맞는 작품으로 지역공동체와 관람객의 참여, 일시적 작업 등을 제안한다.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지만, 조나단 보롭스키의 <망치질하는 남자 >나 헨리 무어의 몇몇 작품은 여러 개가 제작되어 여러 장소에 설치되었다.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 장소에 설치·전시되는 작품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정된 장소의 설치미술이나 장소 자체를 위한 디자인 등을 포함한다.  근래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기념 조형물의 형태를 뒤집어놓거나 날카로운 비판의식으로 공공 영역에 개입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것이 설치되는 장소는 대부분 도시이며, 조각·벽화·스트리트퍼니처·포장작업(paving)·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조형 예술 

일정한 평면이나 공간에 예술적 형상을 창조하는 회화·조각·건축·공예 등도 넓은 의미로 조형 예술이다. 조소 세라믹처럼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입체감 있게 성형(molding)함으로써 공간의 형태적인 아름다움을 이루어 내는 예술을 통틀어 말하며 공간 예술ㆍ조형 미술이라고도 한다. 

 

 

 

'예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수 방지 '플로팅 시티'  (0) 2023.01.11

댓글